반응형 springboot13 Spring MVC Controller 에서 요청 데이터 처리 방법 : 주요 어노테이션 소개 Spring MVC는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 주로 사용되는 프레임워크입니다.이 프레임워크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며, 요청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주로 사용되는 몇 가지 주요 어노테이션에 대해 정리해보려 합니다. 1. @RequestBody@PostMapping("/liyo/test")public ResponseEntity createUser(@RequestBody User user){ // user 객체 처리 로직} 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RequestBody 어노테이션입니다.클라이언트가 전송한 JSON 데이터를 Java 객체로 변환하는 데 사용합니다.주로 RESTful API에서 POST 요청을 처리할 때 유용합니다. 2. @ModelAttibute@PostMapp.. 2025. 1. 13. [SpringBoot] MQTT 기반 단말기 통신 API 서버 구축하기 🌟 INDEX[SpringBoot] MQTT 기반 단말기 통신 API 서버 구축하기개발 환경[SpringBoot] MQTT 기반 단말기 통신 API 서버 구축하기이 글에서는 Java Spring Boot를 사용하여 MQTT 기반의 단말기 통신 API 서버를 구축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MQTT 브로커를 통해 단말기와의 실시간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구현하고, 수집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을 다룹니다. MqttConfig.java전반적으로 mqtt Broker에서 발행 및 구독되는 message를 읽고, 처리하는 기능들을 MqttConfig 에서 다루고 있습니다.(추후에 리펙토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MqttConfig.java 파일을 생성하고, @Log4j2, @Configuration.. 2025. 1. 2. [Spring Boot] 실행 배너 설정하기 스프링 부트를 실행할 때 콘솔에 나타나는 배너를 설정해보려 합니다. Spring Boot 프로젝트의 resources 아래에 있는 banner.txt 를 수정하여 원하는 배너로 커스텀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banner.txt 파일이 없다면 직접 생성하여 설정 가능합니다. ___ ___ ___ ___ ________ |\ \ |\ \ |\ \ / /|\ __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____\ \ \ \/ / / \ \ \\\ \ \ \_______\ \__\__/ .. 2024. 11. 25. [Spring Boot] GlobalsProperties 클래스 생성하기 - 정적변수, 전역변수 사용 Srping Boot ,Spring 적용 가능합니다.properties 값들을 파일로부터 읽어와 Globals 클래스의 정적변수로 로드시켜주는 클래스를 만들어보려합니다.해당 클래스를 생성하기 위한 준비를 위한 준비,,,, 를 먼저 해줍니다.아래의 유틸 클래스 4개를 추가한 채로 작성된 클래스입니다. WebUtil 클래스 2024.11.14 - [Java/SpringBoot] - [Spring Boot] WebUtil Class 생성 - XSS, SQL injection 보안 취약점 방지 [Spring Boot] WebUtil Class 생성 - XSS, SQL injection 보안 취약점 방지Spring Boot 에서 사용한 유틸클래스여서 해당 카테고리에 넣었지만, Spring 에서도 적용 가능합니다!.. 2024. 11. 18.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